겔럭시 S4 초기 불량(오류) 점검 방법 I.news()/I.news(etc)2013. 9. 23. 14:59
'I.news() > I.news(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고미중 (0) | 2011.08.11 |
---|---|
[펌]이해인 수녀님께서 법정 스님께 쓰신 편지 (0) | 2010.03.11 |
[펌] ‘솔로천국’은 말 뿐, ‘돌아온 솔로’는 괴롭다 (0) | 2010.03.09 |
제주 고미중 (0) | 2011.08.11 |
---|---|
[펌]이해인 수녀님께서 법정 스님께 쓰신 편지 (0) | 2010.03.11 |
[펌] ‘솔로천국’은 말 뿐, ‘돌아온 솔로’는 괴롭다 (0) | 2010.03.09 |
[펌] :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184615
[글쓴이] : NBP 웹플랫폼개발랩 박세훈
글이 상당히 좋아서 가져왔습니다. 문제가 될시에는 삭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2년 9월호에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의 도(道)"라는 제목으로 실린 글입니다. 편집 과정을 거치며 일부 내용이 책에 실린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튜닝하는 작업은 자바 및 JVM에 대한 지식과 수많은 튜닝 기법,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대한 경험 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모든 내용을 짧은 지면에서 소개하기에는 무리이니 이 글에서는 성능 튜닝 작업의 상세한 내용보다는 튜닝에 필요한 배경 지식과 튜닝 순서, JVM의 각종 옵션 및 튜닝 접근 방법 등의 간략한 소개를 통해 성능 튜닝의 전반적인 흐름과 방법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특히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도메인 중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설명해나가겠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튜닝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충분한 성능을 내고 있다면 굳이 추가적인 노력을 들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방금 디버깅을 마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해서 항상 목표 성능만큼 동작해 줄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고 그렇게 기준치 이하로 성능이 미달될 때 튜닝이 필요해진다. 구현 언어에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하는 것은 상당한 전문적인 지식과 높은 집중을 요구하는 일인데다, A라는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했을 때 사용했던 방법을 B라는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할 때 재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애플리케이션마다 고유한 동작이 있고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는 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작성 지식보다 좀 더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예를 들면 버추얼머신이나 OS, 컴퓨터 아키텍처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이런 지식을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에 집중해야 수월한 튜닝이 가능하다.
자바 애플리케이션 튜닝이란 경우에 따라 GC 같은 JVM 옵션 값 변경만으로 충분할 수도 있고 아예 코드를 수정해야 할 때도 있다. 어느 방법을 선택하든 우선 자바 애플리케이션 수행 과정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는가', '어떻게 JVM 옵션을 주어야 하는가', '코드 수정 필요 판단은 어떻게 하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JVM상에서 동작하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튜닝을 위해서는 JVM의 동작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JVM 동작 과정에 대한 지식이란 크게 Garbage Collection(이하 GC)에 대한 것과 HotSpot에 대한 지식을 꼽을 수 있다. 물론 GC나 HotSpot 지식만으로 모든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성능 튜닝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대부분의 요소는 이 두 가지에 속한다.
JVM의 원활한 동작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OS가 각 프로세스에 자원을 분배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을 위해서는 JVM 자체는 물론 OS나 하드웨어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OS 관점에서 볼 때 JVM 또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라는 점을 염두에 두도록 하자. 덧붙여 자바 언어 도메인에 대한 지식도 중요하다. Lock이나 Concurrency에 대한 이해는 물론 클래스 로딩이나 객체 생성에 대한 지식 또한 중요도가 높다.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을 할 때는 이러한 지식들을 종합해 접근해야 한다.
<그림 1>은 찰리 헌트와 비아누 존 두 사람의 공동저서인 'Java Performance'에서 인용한 순서도로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그림 1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 과정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 과정은 한 번에 통과하는 과정이 아니라 튜닝 완결까지 몇 번이고 계속 반복할 수도 있다. 기대 성능 수치 설정 또한 마찬가지다. 튜닝 과정을 통해 기대 성능 수치를 하향해야 할 때도 있고 오히려 기대 성능 수치를 상향할 때도 있다.
JVM 배포 모델이란 하나의 JVM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인지 여러 JVM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것인지 결정하는 것으로 가용성, 응답 반응성, 관리 편의성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JVM이 여러 서버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도 한 서버에서 여러 개의 JVM을 동작하도록 하거나 서버마다 각각의 JVM을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하나의 서버에 몇 개의 JVM이 동작할 것인가는 서버의 코어 개수와 애플리케이션의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응답 반응성 관점에서 양자를 비교해볼 때, 같은 애플리케이션일 경우 2GB의 힙을 사용하는 경우가 8GB 크기의 힙을 사용하는 것보다 풀 GC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 응답 반응성에 유리하다. 하지만 8GB 힙을 사용하면 2GB보다 풀 GC 발생 간격이 그만큼 줄어들 것이고 내부 캐시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히트율을 높여 응답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점을 선택했을 때 그 선택에 뒤따르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적합한 배포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JVM 선택이란 32bit JVM을 사용할 것이냐 64bit JVM을 사용할 것이냐에 대한 결정이다. 동일 조건이라면 32bit JVM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32bit JVM이 64bit JVM보다 수행 성능이 좋기 때문이다. 32bit JVM은 논리적 최대 사용 가능 힙 크기가 4GB로, 이보다 큰 크기의 힙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64bit JV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단 32bit OS/64bit OS 모두 실제 사용 할당 크기는 2~3GB 정도다).
표 1 성능 비교 자료(출처 : http://www.readwriteweb.com/hack/2011/06/cpp-go-java-scala-performance-benchmark.php)
Benchmark |
Time [sec] |
Factor |
C++ Opt |
23 |
1.0x |
C++ Dbg |
197 |
8.6x |
Java 64-bit |
134 |
5.8x |
Java 32-bit |
290 |
12.6x |
Java 32-bit GC |
106 |
4.6x |
Java 32-bit SPEC GC |
89 |
3.7x |
Scala |
82 |
3.6x |
Scala low-level |
67 |
2.9x |
Scala low-level GC |
58 |
2.5x |
Go 6g |
161 |
7.0x |
Go Pro |
126 |
5.5x |
이제 작성한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해 성능을 측정하자. 이 과정에서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나 프로파일링 도구를 사용해 GC 튜닝, OS 설정 변경, 코드 수정 등의 작업을 한다.
응답 반응성을 위한 튜닝과 처리량을 위한 튜닝은 별개의 작업일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처리량이 많더라도 풀 GC 등을 위해 때때로 긴 'stop the world' 현상이 발생한다면 응답 반응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일정 부분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트레이드 오프는 응답 반응성과 처리량 사이의 관계에만 있지는 않음을 염두에 두자. 적은 메모리 사용을 위해 CPU 자원을 더 사용해야 하거나 응답 반응성이나 처리량 손실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고 반대의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므로 우선순위를 설정해 접근해야 한다.
<그림 1>의 순서도는 Swin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포괄적인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성능 튜닝 접근 방법이기에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때는 적합하지 않다. <그림 1>을 바탕으로 인터넷 서비스에 맞는 절차를 만들면 <그림 2>와 같은 순서도가 된다.
그림 2 인터넷 서비스 자바 애플리케이션 권장 튜닝 절차
<그림 2>를 참고해 각각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알아보도록 하자.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위주로 JVM 옵션 지정 방법을 설명하겠다. 모든 경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좋은 GC 알고리즘은 Concurrent Mark Sweep GC다. 이는 낮은 딜레이가 중요하기 때문인데, 물론 Concurrent Mark Sweep을 사용할 경우에는 fraction이 발생해 경우에 따라 매우 긴 Stop the World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New 영역의 크기나 fraction ratio를 조정해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전체 힙 사이즈의 크기 지정만큼 New 영역의 크기 지정 또한 중요하다. XX:NewRatio 옵션을 이용해 전체 힙 크기 중 New 크기의 비율을 지정하거나 XX:NewSize 옵션을 사용해 원하는 크기만큼의 New 영역 크기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객체는 생존 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New 영역 크기 지정이 중요해진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캐시 데이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객체는 HttpRequest에 대한 HttpResponse가 만들어지는 시간에 생성된다. 보통 이 시간은 1초를 넘지 않기에 객체의 생존 시간도 1초가 되지 않는다. 만약 New 영역의 크기가 크지 않다면 새로 생성되는 객체의 자리를 위해 Old 영역으로 이동돼야 하고 Old 영역에 대한 GC 비용은 New 영역에 대한 GC 비용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에 충분한 New 영역 크기를 잡아줘야 한다.
다만 일정 수치 이상으로 New 영역의 크기가 커지면 오히려 응답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자. New 영역에 대한 GC는 기본적으로 어느 한 서바이버 영역에서 다른 서바이버 영역으로 복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Old 영역뿐만 아니라 New 영역에 대한 GC를 할 때에도 Stop the World 현상은 발생한다. New 영역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서바이버 영역의 크기도 커져 그만큼 복사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도 늘어난다. 이런 특성을 감안해 New 영역의 크기를 정할 때는 HotSpot JVM의 OS별 NewRatio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표 2 OS와 옵션별 NewRatio
OS & option |
디폴트 –XX:NewRatio |
Sparc –server |
2 |
Sparc –client |
8 |
x86 –server |
8 |
x86 –client |
12 |
NewRatio를 지정하면 전체 힙 크기 중에서 1/(NewRatio + 1) 만큼이 New 영역의 크기가 된다. Sparc server의 NewRatio가 유독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기본값을 정하던 당시 x86보다 Sparc 시스템을 하이엔드 용도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요즘은 x86 서버 사용이 흔해졌고 성능 또한 향상됐기 때문에 Sparc server에 준하는 값인 2 또는 3 정도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NewRatio 대신 NewSize와 MaxNewSize를 지정할 수도 있다. NewSize에서 지정한 값만큼 New 영역이 생성됐다가 MaxNewSize에서 지정한 만큼 New 영역이 커진다. Eden이나 서바이버 또한 지정된 또는 기본 비율에 따라 같이 커진다. Xs와 Xmx 크기를 같게 하는 것처럼 NewSize와 MaxNewSize 또한 같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
NewRatio와 NewSize를 지정했을 때는 둘 중 큰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힙이 생성됐을 때 최초의 New 영역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min(MaxNewSize, max(NewSize, heap/(NewRatio+1)))
전체 힙과 New 영역의 적합한 크기를 한 번에 알 수는 없다.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표 3>과 같은 JVM 옵션으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해보는 것을 권한다. 이 옵션들로 성능을 모니터링한 후 더 적합한 GC 알고리즘이나 옵션으로 변경하자.
표 3 모니터링 후 옵션변경 예시
종류 |
옵션 |
동작 모드 |
-sever |
전체 힙 크기 |
-Xms와 –Xmx의 값을 같게 |
New 영역 크기 |
-XX:NewRatio 2~4 정도의 값 |
-XX:NewSize=? –XX:MaxNewSize=? NewRatio 대신 NewSize를 지정하는 것도 좋다. | |
Perm 크기 |
-XX:PermSize=256m -XX:MaxPermSize=256m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동작에 문제가 없을 정도만 지정한다. |
GC 로그 |
-Xloggc:$CATALINA_BASE/logs/gc.log -XX:+PrintGCDetails -XX:+PrintGCDateStamps GC로그를 남기는 것은 특별히 Java 애플리케이션 수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급적이면 GC 로그를 남기는 것이 좋다. |
GC 알고리즘 |
-XX:+UseParNewGC -XX:+CMSParallelRemarkEnabled -XX:+UseConcMarkSweepGC -XX:CMSInitiatingOccupancyFraction=75 일반적으로 권할만한 설정일 뿐이다.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다른 선택이 더 좋을 수 있다. |
OOM 에러 발생 시 힙 덤프 생성 |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XX:HeapDumpPath=$CATALINA_BASE/logs |
OOM 발생 이후 조치 |
-XX:OnOutOfMemoryError=$CATALINA_HOME/bin/stop.sh 또는 -XX:OnOutOfMemoryError=$CATALINA_HOME/bin/restart.sh 힙 덤프를 남긴 뒤, 관리 정책에 맞게 적합한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파악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정확한 성능 수치를 위해 충분히 워밍업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HotSpot JIT에 의해 바이트 코드가 컴파일된 상태가 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인데, nGrider를 이용해 통상 10분 이상 특정 기능에 대한 부하를 준 뒤 성능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좋다.
본격적으로 사례별 접근 방법을 알아보자.
Stop the World 시간이 긴 이유는 적합하지 않은 GC 옵션 때문일 수도 있지만 잘못된 구현 때문일 수도 있다. 프로파일러나 힙 덤프 결과를 통해 힙을 차지하고 있는 객체의 종류와 생성 개수를 확인해보고 적합여부를 판단한다. 불필요한 객체가 많이 생성돼 있다면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좋다.
객체 생성 과정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GC 옵션을 변경하자. 적합한 GC 옵션 조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 동안 확보한 GC 로그가 필요하다. 어떤 상황에서 긴 Stop the World가 일어나는지 파악하자.
GC는 객체를 얼마나 많이 생성하느냐보다는 생성된 객체가 얼마나 오래 남아있는가가 더 중요하다. 즉 객체가 보다 빨리 GC 대상이 될수록 Stop the World 시간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객체가 빨리 GC 되게 만드는 팁은 다음과 같다.
TPS가 낮은데 CPU 사용률도 낮다면 blocking time이 원인이다. 이 경우 연동 시스템의 문제나 동시성(concurrency) 문제일 수 있다. 스레드 덤프 결과 분석이나 프로파일러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상용 프로파일러를 이용하면 매우 정밀한 lock 분석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jvisualvm에 있는 CPU 분석만으로도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PS가 낮은데 CPU 사용률만 높다면 효율적이지 못한 구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병목 지점 파악이 유효하다. jvisualvm이나 eclipse의 TPTP, JProbe 등을 이용해 분석하자.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할 때는 먼저 성능 튜닝이 필요한지 파악해야 한다. 성능 측정 과정은 매우 고되고 언제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충분한 목표 성능을 만족하고 있다면 굳이 튜닝을 하지 않는 것이 효율적이다.
여기까지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 방법을 정리해 봤다. 성능 측정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를 만들다보니 세부적인 정보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도 했지만 자바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튜닝하기 위한 대부분의 경우는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성능 튜닝 작업을 위해서는 Java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하고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다양한 도구가 필요하다. JDK에 내장된 명령 도구인 jstat, jmap, jstack, jhat도 유용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도구가 있어 소개한다.
JProbe, Yourkit 등의 상용 제품이 유명한데 대부분의 프로파일링 도구는 상용제품으로, 오픈소스나 공개된 프로파일링 도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성능 측정용 도구로는 HP의 LoadRunner가 가장 유명하다. 그러나 상용제품으로 꽤 비싼 가격이므로 본문에서 언급한 nGrinder를 소개한다.
본문의 <표 3>처럼 GC 로그를 남겼다면 다양한 GUI 도구를 이용해 GC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Stop the World 시간이 길거나 기타 이유로 성능이 나쁘다고 여겨질 때 힙 덤프를 얻어 분석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펌] Urban Airship(Push 서비스)에서 C500k를 위해 벌인 일들 (2) | 2012.10.10 |
---|---|
[펌] '일의 노예'… 한국의 IT개발자가 사는 법 (0) | 2010.08.12 |
MIX10, 3월 15일 시작 (0) | 2010.03.15 |
(펌)"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0) | 2010.03.05 |
세계 첫 '국가 앱스토어' 만든다 (0) | 2010.02.26 |
[펌] : http://www.mimul.com/pebble/default/2012/07/18/1342602654675.html
푸시 서버를 구축하는 분들이라면 Urban Airship 블로그를 관심있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푸시 서버 구축에 대한 시행착오나 튜닝 정보들을 포스팅하고 있어 도움이 될법한 콘텐츠들이 많습니다.
그 중 오늘은 "C500k in Action at Urban Airship"이란 아티클을 의역해 봅니다.
2000년쯤에는 c10k라는 문제(동시접속 만개를 해결하는 문제)가 주로 화두였는데, 현재는 c500k 도 이미 해결된 상태죠. Urban Airship의 경우를 본다면.. 물론 동접자수가 많은 것과 성능은 성질이 다르지만, 푸시같은 경우 지속적인 트래픽 처리도 중요하지만, 이벤트 캐치를 해 푸시 딜리버리 보장을 위해 영속성 있는 연결 구조의 특성을 가져가는 것도 중요해 보이네요.
그리고 이 글 다음으로 읽어야 할 것이 바로 "Linux Kernel Tuning for C500k"입니다. 커널 튜닝도 꼼꼼히 살펴봐야죠.
자, 그럼 내용으로 들어가 봅니다.
우리는 안드로이드용으로 AirMail Push 플랫폼을 구축중에 있고 이 플랫폼은 동시 접속 디바이스 수가 수백만을 처리할 수 있는 서버 사이드 인프라를 지원해야 한다. 애플의 iOS platform상의 푸시와 같이 안드로이드용 AirMail은 실시간으로 메세지를 푸시하기 위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연결 지향의 소켓 통신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서버 사이드에서 수십만 영속성 있는 소켓 통신 처리, 네트워크 끊기거나 네트워크에 재 연결된, 그리고 네트워크가 교환된 사용자의 경우처럼 클라이언트측의 연결 관리가 필요하고, 사용되지 않는 네트워크 감지하고 연결을 닫는 등의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 아티클은 서버 기반의 푸시 인프라 스트럭처를 구축하면서 직면했던 도전들을 설명한다. 어떻게 Java NIO 기반에 스레드/이벤트/큐 기반의 하이브리드형으로 재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들이다.
디바이스에 푸시 노티를 하기 위해서는 영속적인 소켓 연결을 가져가야 한다. 우리의 플랫폼은 디바이스의 동접이 수백만에 이르는 가용성이 필요했다. 그것은 서버 시스템의 스택과 소프트웨어는 각 노드가 수많은 동시 연결을 유지하면서 메세지를 받고 푸시 노티를 우아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중요한건 이들을 처리하는데 얼마나 많은 노드들이 필요한가?이다.
한 노드가 10,000 클라이언트를 지원한다면 벤처로서는 엄두도 못낼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즉, 100만 디바이스를 수용할려면 100대의 서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초기에는 python의 Eventlet을 사용해 구현하면서 미지의 영역에서 벤처를 시작했다. Eventlet은 경량의 코루틴을 통해 병렬처리를 지원하는 환상적인 라이브러리다. Eventlet은 개발자들로 하여금 소켓 구현을 통해 대량의 접속을 쉽게 관리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쓰레드 기반 서버와 달리 컨텍스트 전환이 쉽고 오버헤드가 적다. 그렇게 해서 Helium이라는 첫번째 엣지 서버가 탄생했다.
Eventlet기반의 초기 Helium 코드는 이해하기 쉽고 깨끗하고 심플했다. 우리는 Python도 좋았고, Eventlet 같은 라이브러리를 창출한 Python 커뮤니티도 마음에 들었다. Eventlet 기반 초기 Helium 성능은 EC2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메모리 1.7GB을 상한으로 설정하고 응용 프로그램 수준에서 keep-alive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37,000 클라이언트를 수용했다. 숫자(성능)는 일단 만족하지만, 우리가 필요로하는 가용성을 수용하려면 많은 인스턴스가 필요로하게 된다. 이것은 돈이 많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우리는 성능적으로, 보안적으로, 때론 안정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프라스트럭처에 투자를 하고 있고, 우리는 인프라 관리자라기보다는 더 좋은 프로그래머들이고 싶고 성능과 비용 효율면에서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싶다.
우리는 (Eventlet기반의 초기 Helium보다) 매우 효율적인 소켓 서버 프로토타입을 구축하기 위해 탐구를 시작했다. 우리는 다양한 옵션들을 고려했다. C++기반의 [e]poll, 스레드/이벤트 기반 java나 scala구현, Node.js, 그외 다른 것들도 시도를 해봤다. 예상대로 순수 스레드 기반의 자바는 동시 연결 수가 수천대가 되면 쓸모없게 되고 C기반의 구현은 너무 저수준이어서 구현이 힘들고 프로젝트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Java NIO(new/non-blocking IO)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실험한 내용이 좋아서 아래의 세가지 경우를 가지고 다양하게 검증해 보았다.
위 세가지를 가지고 동시 연결 수와 메모리 효율성 관점에서 두 결과는 이전의 결과를 능가했다.
벤치 마크 1. 최대 동시 연결 수
구현안 | 연결수 | 메모리 사용량 |
Java Pure NIO | 512,000 + | 2.5 GB |
Java w/Netty | 330,000 | 2.2 GB |
Scala w/Netty | 173,000 | 1.5 GB |
구현안 | 연결수 | 메모리 사용량 | Delta |
Java Pure NIO | 80,000 + | 581 MB | 1x |
Java w/Netty | 80,000 | 711 MB | 1.3x |
Scala w/Netty | 80,000 | 937 MB | 2.26x |
EC2의 작은 인스턴스에 각 노드당 35,000개의 연결수였던 것이 512,000개까지 증가되었다. 이는 효율성, 인프라스트럭처 비용, 관리의 오버헤드 관점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각 노드당 동시 연결수는 Eventlet 기반 초기 Helium의 약 15배 향상되었다.
너무 일찍 터트린 샴페인일 수 있으나, NIO 플랫폼으로 구현된 우리의 애플리케이션 로직, keepalives, 메세지 통신을 구현한 뒤에서 전례없는 테스트 결과가 나왔다.
곁가지지만, Java+Netty나 Scala+Netty의 경우 드문 경우지만, Java 프로세스가 CPU 100%를 쳤는데도 콘솔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았다. 이것은 예외상황에 노출되었으나 타이트한 무한 루프에서 예외상황을 방관하지 않았나 생각된다.(병목현상?)
이들 숫자를 바탕으로하여 우리는 Java + Pure NIO 구현을 밀어붙일 것이다. 그리고 계속 지켜봐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NIO구현과 관련된, 우리의 방법론이나 측정치에 대한 많은 정보들, 우리가 도중에 배운 것들, 우리가 피할수 있었지만, 곤란했던 상황들의 몇가지 포스트를 올릴 것이다.
참고로 Urban Airship의 아키텍처에 이해를 돕고자 추가한 단락이다. "Scaling Urban Airship’s Messaging Infrastructure to Light Up a Stadium in One Second" 아티클을 참고하여 작성했다.
[펌]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의 도(道) (3) | 2012.10.24 |
---|---|
[펌] '일의 노예'… 한국의 IT개발자가 사는 법 (0) | 2010.08.12 |
MIX10, 3월 15일 시작 (0) | 2010.03.15 |
(펌)"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0) | 2010.03.05 |
세계 첫 '국가 앱스토어' 만든다 (0) | 2010.02.26 |
이 글은 S/W 개발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이슈 추적(Issue Tracker), 버전 관리(Version Control), 빌드(Build), 지속적인 통합(CI)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련의 글 중 여섯 번째이다. 지난글에서 빌드 스크립트를 구성했으므로 이를 활용할 CI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해 본다.
Java 런타임을 먼저 설치하고 환경 변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1 |
JAVA_HOME=C:\Program Files (x86)\Java\jdk1.6.0_26 |
2 |
CLASSPATH=. |
3 |
Path=%JAVA_HOME%\bin |
Jenkins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서비스까지 등록한다. 기본 포트는 8080이므로 http://plab.net:8080으로 접속해 첫 화면이 뜨면 정상이다.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면 Apache 웹 서버를 통해 접속하도록 변경한다.
Apache 웹 서버 httpd.conf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01 |
LoadModule proxy_module modules/mod_proxy.so |
02 |
LoadModule proxy_http_module modules/mod_proxy_http.so |
03 |
04 |
ProxyRequests Off |
05 |
<Proxy http://127.0.0.1:8080/jenkins*> |
06 |
Order deny,allow |
07 |
Allow from all |
08 |
</Proxy> |
09 |
ProxyPass /jenkins http://127.0.0.1:8080/jenkins |
10 |
ProxyPassReverse /jenkins http://127.0.0.1:8080/jenkins |
<arguments>
항목에 다음과 같이 --prefix=/jenkins
를 추가한다
<arguments>-Xrs -Xmx256m -Dhudson.lifecycle=hudson.lifecycle.WindowsServiceLifecycle -jar "%BASE%\jenkins.war" --httpPort=8080 --prefix=/jenkins</arguments>
먼저 메일 전송 설정은 Manage Jenkins – Configure System 선택 후 E-mail Notification 항목을 채운다. 인증이 필요하면 Advanced 버튼을 누르면 된다.
설정을 계속하기 전에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Manage Jenkins – Manage Plugins를 선택한 후, ‘Available’ 탭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우선 NAnt, Mercurial 플러그인을 선택하고 그 외 필요에 따라 추가 선택하면 되겠다. 선택 후에는 화면 가장 아래에 있는 Install 버튼을 누르면 된다. 만약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다면 여기에서 확장자가 hpi인 플러그인 파일을 받은 후, Manage Plugins 메뉴에서 ‘Advanced’ 탭을 선택하고 Upload Plugin에서 직접 선택해 설치할 수도 있다.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에는 재시작해야 한다.
이제 Manage Jenkins – Configure System을 선택하면 Mercurial과 Nant Builder 항목을 볼 수 있다. 먼저 NAnt부터 설정한다.
Nant Builder 항목에서 Add 버튼을 누른다. 이름은 적당히 주면 되고 NANT_HOME에는 NAnt 설치 경로를 입력한 후 가장 아래에 있는 Save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여기서 지정한 이름은 빌드 프로젝트 설정에서 사용한다.
Mercurial은 다음처럼 설정한다. Manage Jenkins – Configure System을 선택하고 Mercurial 항목에서 Add Mercurial 버튼을 누른다. 이름은 적당히 지정하면 되는데 여기서 지정한 이름은 빌드 프로젝트 설정에서 사용한다. 이전 글에 따라 설치했으면 python 패키지를 설치했을 것이므로 설치 위치를 따로 지정하지 않고 실행 파일만 지정하면 된다. 설정 후 가장 아래에 있는 Save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권한 설정은 Manage Jenkins – Configure System – Enable security 항목을 선택한다. OpenLDAP을 사용하므로 Access Control 항목에서 Security Realm은 LDAP을 선택하고 Advanced 버튼을 누른다. 각 항목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ccess Control 항목에서 Authrization은 Project-based Matrix Authrization Strategy 또는 Matrix-based security를 선택한다. Project-based는 Matrix-based에 추가로 프로젝트별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저장하기 전에 모든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을 입력 후 Add 버튼을 눌러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한다. 그러지 않으면 로그인 할 수 없으니 주의한다. 또한 인증으로 OpenLDAP을 사용하므로 추가하는 계정은 OpenLDAP에 추가한 계정이어야 한다.
또는 OpenLDAP에 Jenkins 관리자 그룹을 만들고 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DN이 cn=jenkinsadmins, ou=Groups, dc=plab, dc=net인 jenkinsadmins 그룹을 만들고 멤버를 추가한다. 이 그룹 정보를 Jenkins에서 사용할 때는 cn(common name)을 대문자로 쓰고 ROLE_을 접두어로 붙인다. 즉 ROLE_JENKINSADMINS가 된다. 이를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한다. 필요에 따라 다른 그룹도 이처럼 설정한다.
설정 후 저장하면 자동으로 로그오프 되는데, 혹시 권한 설정을 제대로 못한 상태에서 로그인 할 수 없게 되면 Jenkins\config.xml 파일 내용에서 다음 내용을 찾아 false로 바꾼 후 Jenkins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이후에 권한 설정을 새로 하면 된다.
1 |
<useSecurity>true</useSecurity> |
빌드를 하려면 작업(job)을 만들어야 한다. New Job을 선택하고 Job name에 이름을 지정한 후 Build a free-style software project를 선택한다. 지정 후 OK 버튼을 선택하면 작업을 만든다.
해당 job에 대한 빌드 설정을 한다.
Advanced Project Options 항목에서 Advanced 버튼을 누르면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다. 저장소에서 파일을 받아 빌드할 위치를 지정하려면 Use custom workspace를 선택하고 Directory를 지정하면 된다. 경로는 서버 내 위치이다.
빌드에 사용할 파일을 저장소에서 받기 위해 Source Code Management 항목을 설정한다. Mercurial Version 항목은 이전에 Configure System 메뉴에서 설정한 Mercurial 항목 이름이다.
Build 항목에서 Add build step 버튼을 누르면 빌드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면 차례로 추가해 설정하면 된다. 이전 글에서 빌드 스크립트를 배치 파일로 구성했으므로 Execute Windows batch command를 선택한다. 경로는 workspace를 루트로 한 상대 경로로 지정했다.
빌드를 마친 후 처리할 내용은 Post-build Actions 항목에서 설정한다. 여기서는 E-mail Notification을 선택한다. 메일 주소는 Recipients에 빈칸으로 구분해 적으면 된다.
설정을 마쳤으면 화면 가장 아래에 있는 Save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빌드가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한다. 첫 화면 또는 해당 프로젝트 화면에서 Build Now 아이콘을 선택하면 즉시 빌드를 할 수 있다. 빌드 상태는 날씨 아이콘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실패 정도가 많을수록 날씨는 더 나빠진다.
빌드를 실패했을 때는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한다. 첫 화면의 dashboard에서 날씨 아이콘을 선택하면 가장 최근 빌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Console Output을 선택하면 된다. 또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Build History – Console Output을 선택해도 된다.
참고: 빌드 스크립트에는 Visual Studio 환경 변수를 사용해 호출하는 부분이 있다. 명령 행에서 빌드할 때는 문제 없으나 Jenkins에서는 이 환경 변수를 인식하지 못해 실패한다. 이 때는 Jenkins 서비스를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하도록 바꾸면 된다. 빌드 도중 Visual Studio 컴파일러나 링커 등에서 실패할 때도 이렇게 해결할 수 있다. 실행 계정을 바꾼 후에는 서비스를 정지 후 다시 실행하면 된다.
빌드가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했으면 이제 자동으로 빌드하도록 설정한다. Build Triggers 항목에서 Build periodically나 Poll SCM을 선택한다. Build periodically는 지정 주기가 되면 빌드하는 것이고 Poll SCM은 일정 주기로 저장소에 변경 내용이 있는지 확인 후 있으면 빌드한다. 모두 Schedule에 주기를 지정하는데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아래는 매 30분마다 확인 후 변경 내용이 있으면 빌드하는 예이다. 실제 적용은 10분마다 확인하도록 했으며 프로젝트별 설정 – Mercurial Polling Log에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인 설정은 모두 마쳤으나 추가로 이메일 발송 기능을 확장해 보자.
Email-ext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Manage Jenkins – Configure System을 선택하면 Extented E-mail Notification 항목을 볼 수 있으며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한다. Override Global Settings를 선택하고 이전에 E-mail Notification에 적은 내용을 여기로 옮긴다.
프로젝트별 설정 화면에서도 Post-build Actions에서 Editable Email Notification 항목이 생기며 프로젝트별로 적용한다. 이 항목을 선택하고 이전에 선택한 E-mail Notification은 선택 해제한다. OpenLDAP 계정에 mail 정보를 추가하면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메일 정보를 가져와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메일 수신 목록을 Recipient List에 직접 추가해도 된다. 또한 프로젝트저장소에 커밋하면 해당 계정 정보를 자동으로 가져 온다. 또한 Email-ext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Jelly script를 사용할 수 있으며 Default Content 내용을 꾸밀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플러그인 설명을 참고한다.
성이시돌목장
곶자왈 (동백동산) //별로
곽금 올레길
사려니 숲길 // 땡김
조근모살(하얏트산책로)
한남해변
오월의 꽃 (무인카페)
돌문화공원
어승생 오름
협재?!
진
산지등대
두멩이 골목
먹거리
방주할머니식당
성산 오일장
잠잘곳
오신생 할망네 (2인 2만)
영등 현동순 할망집(
겔럭시 S4 초기 불량(오류) 점검 방법 (0) | 2013.09.23 |
---|---|
[펌]이해인 수녀님께서 법정 스님께 쓰신 편지 (0) | 2010.03.11 |
[펌] ‘솔로천국’은 말 뿐, ‘돌아온 솔로’는 괴롭다 (0) | 2010.03.09 |
[펌]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의 도(道) (3) | 2012.10.24 |
---|---|
[펌] Urban Airship(Push 서비스)에서 C500k를 위해 벌인 일들 (2) | 2012.10.10 |
MIX10, 3월 15일 시작 (0) | 2010.03.15 |
(펌)"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0) | 2010.03.05 |
세계 첫 '국가 앱스토어' 만든다 (0) | 2010.02.26 |
Windows Phone 7 Series
날 두근대게 해주렴^^
[펌]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의 도(道) (3) | 2012.10.24 |
---|---|
[펌] Urban Airship(Push 서비스)에서 C500k를 위해 벌인 일들 (2) | 2012.10.10 |
[펌] '일의 노예'… 한국의 IT개발자가 사는 법 (0) | 2010.08.12 |
(펌)"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0) | 2010.03.05 |
세계 첫 '국가 앱스토어' 만든다 (0) | 2010.02.26 |
법정 스님께
언제 한번 스님을 꼭 뵈어야겠다고 벼르는 사이 저도 많이 아프게 되었고 스님도 많이 편찮으시다더니 기어이 이렇게 먼저 먼 길을 떠나셨네요.
2월 중순, 스님의 조카스님으로부터 스님께서 많이 야위셨다는 말씀을 듣고 제 슬픔은 한층 더 깊고 무거워졌더랬습니다. 평소에 스님을 직접 뵙진 못해도 스님의 청정한 글들을 통해 우리는 얼마나 큰 기쁨을 누렸는지요!
겔럭시 S4 초기 불량(오류) 점검 방법 (0) | 2013.09.23 |
---|---|
제주 고미중 (0) | 2011.08.11 |
[펌] ‘솔로천국’은 말 뿐, ‘돌아온 솔로’는 괴롭다 (0) | 2010.03.09 |
겔럭시 S4 초기 불량(오류) 점검 방법 (0) | 2013.09.23 |
---|---|
제주 고미중 (0) | 2011.08.11 |
[펌]이해인 수녀님께서 법정 스님께 쓰신 편지 (0) | 2010.03.11 |
[펌] 자바 애플리케이션 성능 튜닝의 도(道) (3) | 2012.10.24 |
---|---|
[펌] Urban Airship(Push 서비스)에서 C500k를 위해 벌인 일들 (2) | 2012.10.10 |
[펌] '일의 노예'… 한국의 IT개발자가 사는 법 (0) | 2010.08.12 |
MIX10, 3월 15일 시작 (0) | 2010.03.15 |
세계 첫 '국가 앱스토어' 만든다 (0) | 2010.02.26 |